우리민족 최고의 천재사학자 단재 신채호선생의 대표작 조선상고사를 현대말로 풀어본다.


고조선 그 이후


북부여, 동북부여, 남동부여, 고구려 네 나라는 ‘신조선(朝鮮)’의 판도 내에서 세워진 나라들이다. 그러나 ‘신조선’이 멸망하여 부여왕조가 되고, 부여가 다시 분열하여 위의 삼국이 되었는지, 아니면 부여는 곧 ‘신조선’의 별명이고 따로 부여란 왕조가 없이 신조선으로부터 위의 삼국이 되었는지, 이에 대하여는 고찰할 근거가 없다. 그러나 신조선이 흉노 모돈(慕頓)에게 패한 때가 기원전 200년경이고 동·북 부여의 분립도 또한 기원전 200년경이니, 후자가 혹시 사실에 가깝지 않을까 한다. 이전의 사서(史書)에서는 동·북 부여가 분립한 사실을 이렇게 기록했다.

“부여왕 해부루(解夫婁)가 늙도록 아들이 없어서 이름난 산천을 찾아다니며 아들 낳기를 기도하였다. 곤연(鯤淵)에 이르렀을 때 왕이 탄 말이 큰 돌을 보고 눈물을 흘리기에, 이를 괴이 여겨서 그 돌을 뒤집어 보니, 누런 황금색 개구리, 즉 금와(金蛙) 모양의 아기가 있었다. 이를 보고 왕이 말했다. ‘이는 하늘이 주신 나의 아들이다’ 그리고는 그를 데려와서 기르면서 이름을 금와(金蛙)라 부르고 태자로 삼았다.  그 뒤 얼마 후에 대신 아란불(阿蘭弗)이 왕에게 고하기를, ‘최근에 천신이 저에게 내려와서 이르기를, ‘이 땅에는 장차 내 자손으로 하여금 나라를 세우도록 하고자 하니, 너희들은 피해서 동해가의 가섭원(迦葉原)으로 가거라. 그곳은 토질이 오곡 농사에 적합하니라고 하였나이다’ 고 하면서 도읍을 옮기기를 청하였다. 부여왕이 그 청을 좇아 가섭원으로 천도해 국호를 ‘동부여’ 라 하고, 고도(故都)에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가 다섯 마리의 용들이 끄는 수레를 타고, 수행원 100여 명은 흰 고니를 타고 웅심산(熊心山)에 내려왔는데, 이때 그의 머리 위에는 오색구름이 뜨고 구름 속에서는 음악소리가 들려왔다.

해모수가 10여 일만에 산 밑으로 내려와서 새 깃을 꽂은 관을 쓰고 용의 광채가 나는 칼을 차고 아침에는 정사(政事)를 보고 저녁에는 하늘로 올라가므로, 세상 사람들은 그를 천제의 아들이라 불렀다”

혹자는 이 기록이 너무 신화적이어서 신뢰할 수 없다고 하나, 어느 나라든지 고대의 신화시대가 있어서 후세 사가들이 그 신화 속에서 사실을 채취할 뿐이니, 이를테면 “말이 돌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 “천신이 아란불에 내려왔다” “해모수가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한 말들은 다 신화이지만, 해부루가 다른 사람의 사생아인 금와를 주워서 길러 태자를 삼은 것은 사실이고, 해부루가 아란불의 신화에 의탁하여 천도를 단행한 것도 사실이며, 해모수가 천제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고도를 습격하여 차지한 것도 사실이니, 총괄하면 동·북 부여가 분립한 역사상 빼지 못할 큰 사실이다.


천제의 아들이라 칭한 해모수는 고조선 이후 단군정신을 계승한 나라, 북부여 를 세웠다


당시의 제왕은 제왕인 동시에 제사장(祭司長)이었으며, 당시의 장수나 재상들은 장상(將相)인 동시에 무사(巫師)였고 복사(卜師)였다. 그러므로 대개 해부루는 제사장 곧 대단군(大檀君)의 직위를 세습한 자이고, 아란불은 신을 불러오는 법(降神術)을 터득한 무사(巫師)와 미래를 예언하는 복사(卜師)의 직책을 겸한 상가(相加)였을 것이다.

대단군과 상가는 비록 최고한 지위를 가졌지만 ‘신조선’의 관습에는 내우외환과 같은 것은 물론이고 천재지변과 같은 것도 대단군에게 그 책임을 물었으며, 천시(天時)나 인사(人事)에 불행한 일이 있으면 대단군을 인정하지 않아 폐출해 쫓아내기도 하는 바, 이 때는 흉노 모돈과의 전쟁에서 패한 지 얼마되지 않았으므로, 아마 그 패전의 치욕으로 인민들의 신앙이 약해져서 대단군의 자리를 보전할 수 없게 되자 아란불과 공모하여 갈사나(曷思那), 즉 지금의 훈춘(琿春) 등지로 달아나 새로운 나라를 세운 것이다.

해모수는 해부루와 동족으로서 고주몽(高朱蒙)의 부친인데, ‘삼국유사’ 왕력(王歷) 편에서 주몽을 단군의 아들이라 하였으니, 그렇다면 해모수도 대단군의 칭호를 가졌음이 분명하다. 대단군은 곧 하늘의 대표라 하였으므로, 대개 해모수는 해부루가 동쪽으로 옮겨간 것을 기회로 하늘에서 하강한 대단군이라 자칭하면서 왕위를 도모하였던 것이다.

부여는 ‘불’, 곧 도성(都城), 혹은 도회를 말하는 것인데, 해부루가 ‘동부여’ 라고 칭하자 해모수는 ‘북부여’ 라고 칭했을 것이니, 북부여란 명칭이 사서에서 빠지고 없으므로 최근에 와서 학자들이 양자를 구별하기 위해 비로소 해모수가 왕이 된 부여를 ‘북부여’ 라고 칭하게 된 것이다. <계속>